유니텍요오드화나트륨(131I)액

Страна: Республика Корея

Язык: корейский

Источник: MFDS (식품 의약품 안전부)

Купи это сейчас

Доступна с:

(주)삼영유니텍

дозировка:

이 약 1mL 당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форма:

무색의 맑은 액이 들어있는 투명한 바이알에 담아 공급되며, 이 용기는 다시 차폐포장되어 있다.

состав:

이 약 1mL 당,요오드화나트륨(131 I)액,KP,37,메가베크렐

Штук в упаковке:

자사포장단위

Тип рецепта:

전문의약품

Терапевтические области:

[431]방사성 의약품

Обзор продуктов:

밀봉용기, 실온보관(1~30℃), 방사선을 안전하게 차폐할 수 있는 저장 상자에 보존, 차폐용기:원자력법령에 의함 제조일로부터 1개월

Статус Авторизация:

허가

Дата Авторизация:

2011-01-10

Характеристики продукта

                                •
•
유니텍요오드화나트륨
(131I)
액
•
기본정보
•
성상
:
무색의 맑은 액이 들어있는 투명한 바이알에 담아
공급되며
,
이 용기는 다시 차폐포장되어
있다
.
•
모양
:
•
업체명
:
(
주
)
삼영유니텍
•
전문
/
일반
:
전문의약품
•
분류번호
:
[431]
방사성 의약품
•
허가일
:
2011-01-10
•
품목기준코드
:
201100110
•
표준코드
:
8806851001201, 8806851001218, 8806851001225, 8806851001232,
8806851001249,
8806851001256, 8806851001263, 8806851001270, 8806851001287,
8806851001294,
8806851003212, 8806851003229, 8806851003236, 8806851003243,
8806851003250,
8806851003267, 8806851003274, 8806851003281, 8806851003298,
8806851003311,
8806851003328, 8806851003335, 8806851003342, 8806851003359,
8806851003366,
8806851003373, 8806851003380, 8806851003397, 8806851003410,
8806851003427,
8806851003434, 8806851003441, 8806851003458, 8806851003465,
8806851003472,
8806851003489, 8806851003496, 8806851003519
•
마약류 구분
:
•
기타식별표시
:
•
변경이력
:
변경이력보기
•
원료약품 및 분량
•
총량
:
이 약
1mL
당
•
성분명
:
요오드화나트륨
(131 I)
액
•
분량
:
37
•
단위
:
메가베크렐
•
규격
:
KP
•
성분정보
:
•
비고
:
효능효과
1.
진단용
1)
131
I
갑상선 섭취율에 의한 갑상선 기능 검사
2)
신티그램에 의한 갑상선 질환의 진단
3)
신티그램에 의한 갑상선암 전이소
(
轉移巢
)
의 발견
2.
치료용
1)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치료
2)
갑상선암 및 전이소
(
轉移巢
)
의 치료
용법용량
1.
진단용
1)
131
I
갑상선 섭취율의 측정
: 0.185~1.85MBq(5~50μCi)
을 경구투여하고
,
일정시간 후 갑상선부위
의 방사능을 측정한다
.
2)
신티그래피
: 0.74~3.7MBq(20~100μCi)
을 경구투여하고
,
일정시간 후 신티그램을 얻는다
.
3)
갑상선암 전이소
(
轉移巢
)
의 신티그래피
: 18.5~370MBq(0.5~10mCi)
을 경구투여하고
,
일정시간
후 신티그램을 얻
                                
                                Прочитать полный документ
                                
                            

Просмотр истории документо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