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온스도부타민염산염주사(수출명:부타인주사,DOBUTONINJ.,DOBIERINJ.,BrittracInj.) Korea Południowa - koreański - MFDS (식품 의약품 안전부)

휴온스도부타민염산염주사(수출명:부타인주사,dobutoninj.,dobierinj.,brittracinj.)

huons co., ltd. - dobutamine hydrochloride - 무색 투명한 앰플내의 무색-미황색의 액이 들어 있는 주사제 - 1ml 중 - 첨가제 : 피로아황산나트륨, 에탄올, 주사용수, 염산; 첨가제 주의 관련 성분: 피로아황산나트륨 - [211]강심제 - 심장질환이나 심장수술로 인해 수축력이 저하된 심부전증의 단기 치료시 심박출력 증가

도타민주(도부타민염산염)(수출명:Heartmine Inj.)(수출용) Korea Południowa - koreański - MFDS (식품 의약품 안전부)

도타민주(도부타민염산염)(수출명:heartmine inj.)(수출용)

한국유니온제약(주) - 도부타민염산염 - 무색투명한 앰플내의 무색의 액이 들어있는 주사제 - 1밀리리터 중 - 첨가제 : 피로아황산나트륨, 에탄올, 주사용수, 염산; 첨가제 주의 관련 성분: 피로아황산나트륨 - [211]강심제 - 심장질환이나 심장수술로 인해 수축력이 저하된 심부전증의 단기 치료시 심박출력 증가

옥트레오스캔주사(인듐펜테트레오티드(111In)주사액) Korea Południowa - koreański - MFDS (식품 의약품 안전부)

옥트레오스캔주사(인듐펜테트레오티드(111in)주사액)

new korea industrial co., ltd. - indium chloride (111in)/pentetreotide - - a. 염화인듐(111in)주사액 : 무색투명한 용액이 든 무색투명 바이알 - b. 리액션바이알 : 백색분말이 든 무색투명 바이알 - 1키트 당-염화인듐주사액바이알(1.1 ml) /1키트 당-리액션바이알 - 첨가제 : 겐티신산, 구연산일수화물, 염산, 구연산나트륨이수화물, 주사용수, 이노시톨, 염화제이철 - [431]방사성 의약품 - 1. 진단용 방사성의약품인 인듐 펜테트레오티드(111in) 주사액의 조제용 2. 인듐 펜테트레오티드(111in) 주사액의 효능ㆍ효과 : 소마토스타틴 수용체를 가지고 있는 원발성 및 전이성 신경내분비종양의 위치 진단

인터메딕염산도부타민주(수출용)(수출용: BIOSDOMIN Inj.) Korea Południowa - koreański - MFDS (식품 의약품 안전부)

인터메딕염산도부타민주(수출용)(수출용: biosdomin inj.)

chunwoo pharmceutical co., ltd - dobutamine hydrochloride - 무색 투명한 앰플내에 무색의 액이 들어있는 주사제 - 1밀리리터 중 - 첨가제 : 피로아황산나트륨, 주사용수, 에탄올, 염산; 첨가제 주의 관련 성분: 피로아황산나트륨 - [211]강심제 - 심장질환이나 심장수술로 인해 수축력이 저하된 심부전증의 단기 치료시 심박출력증가

콘서타OROS서방정36밀리그램(메틸페니데이트염산염) Korea Południowa - koreański - MFDS (식품 의약품 안전부)

콘서타oros서방정36밀리그램(메틸페니데이트염산염)

janssen korea ltd. - methylphenidate hydrochloride - 흰색의 장방형 필름코팅 정제 - 1정 (약 514mg 중)-약물층1/1정 (약 514mg 중)-약물층2/1정 (약 514mg 중)-방출층/1정 (약 514mg 중)-멤브레인층/1정 (약 514mg 중)-약물코팅층/1정 (약 514mg 중)-색소코팅층/1정 (약 - 첨가제 : 폴록사머188, 오파드라이ii흰색(y-30-18037), 스테아르산, 인산, 녹색산화철(pb-1581), 산화폴리에틸렌, 히프로멜로오스, 염화나트륨, 포비돈, 숙신산, 오파드라이투명(ys-1-19025-a), 부틸화히드록시톨루엔, 아세트산셀룰로오스(398-10), 황색산화철, 카르나우바납 - [115]각성제,흥분제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의 치료. adhd에 대한 이 약의 치료효과는 dsm-iv 기준에 부합하는 6세 이상 17세 이하의 소아 및 청소년과 18세 이상 65세 이하의 성인 adhd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입증되었다. 진단은 dsm기준 또는 icd 가이드라인에 따라 실시해야 한다. 진단시 특별히 고려할 점 이 증상의 특별한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단독의 진단검사법도 없다. 적절한 진단을 위해서는 의학적이면서 특수한 심리적, 교육적, 사회적 자원이 필요하다. 학습장애는 있거나 없을 수도 있다. 환자의 모든 병력과 평가에 기초하여 진단해야 하며 dsm 기준에 있는 특징적인 증상 수의 존재 여부에만 의존하여 진단하여서는 안된다. 세심한 치료 프로그램의 필요성 이 약은 adhd의 환자에 대한 다른 치료방법(심리적, 교육학적, 사회적)이 포함된 전체 치료프로그램 내 필수적인 부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약물 치료는 이 증상을 가지고 있는 모든 환자에게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 약은 환경적인 요인 및/또는 다른 일차성 정신과 장애(정신이상 포함)에 이차적으로 수반되어 adhd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에는 적합하지 않다. 적절한 교육을 통...

콘서타OROS서방정54밀리그램(메틸페니데이트염산염) Korea Południowa - koreański - MFDS (식품 의약품 안전부)

콘서타oros서방정54밀리그램(메틸페니데이트염산염)

janssen korea ltd. - methylphenidate hydrochloride - 적갈색의 장방형 필름코팅 정제 - 1정 (약 526mg 중)-약물층1/1정 (약 526mg 중)-약물층2/1정 (약 526mg 중)-방출층/1정 (약 526mg 중)-멤브레인층/1정 (약 526mg 중)-약물코팅층/1정 (약 526mg 중)-색소코팅층/1정 (약 - 첨가제 : 폴록사머188, 스테아르산, 인산, 적색산화철, 녹색산화철(pb-1581), 산화폴리에틸렌, 히프로멜로오스, 염화나트륨, 포비돈, 숙신산, 오파드라이투명(ys-1-19025-a), 부틸화히드록시톨루엔, 아세트산셀룰로오스(398-10), 카르나우바납, 오파드라이ii 적색(ys-30-15567-a) - [115]각성제,흥분제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의 치료. adhd에 대한 이 약의 치료효과는 dsm-iv 기준에 부합하는 6세 이상 17세 이하의 소아 및 청소년과 18세 이상 65세 이하의 성인 adhd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입증되었다. 진단은 dsm기준 또는 icd 가이드라인에 따라 실시해야 한다. 진단시 특별히 고려할 점 이 증상의 특별한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단독의 진단검사법도 없다. 적절한 진단을 위해서는 의학적이면서 특수한 심리적, 교육적, 사회적 자원이 필요하다. 학습장애는 있거나 없을 수도 있다. 환자의 모든 병력과 평가에 기초하여 진단해야 하며 dsm 기준에 있는 특징적인 증상 수의 존재 여부에만 의존하여 진단하여서는 안된다. 세심한 치료 프로그램의 필요성 이 약은 adhd의 환자에 대한 다른 치료방법(심리적, 교육학적, 사회적)이 포함된 전체 치료프로그램 내 필수적인 부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약물 치료는 이 증상을 가지고 있는 모든 환자에게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 약은 환경적인 요인 및/또는 다른 일차성 정신과 장애(정신이상 포함)에 이차적으로 수반되어 adhd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에는 적합하지 않다. 적절한 교육을 통...

콘서타OROS서방정27밀리그램(메틸페니데이트염산염) Korea Południowa - koreański - MFDS (식품 의약품 안전부)

콘서타oros서방정27밀리그램(메틸페니데이트염산염)

janssen korea ltd. - methylphenidate hydrochloride - 회색의 장방형 필름코팅 정제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의 치료. adhd에 대한 이 약의 치료효과는 dsm-iv 기준에 부합하는 6세 이상 17세 이하의 소아 및 청소년과 18세 이상 65세 이하의 성인 adhd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입증되었다. 진단은 dsm기준 또는 icd 가이드라인에 따라 실시해야 한다. 진단시 특별히 고려할 점 이 증상의 특별한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단독의 진단검사법도 없다. 적절한 진단을 위해서는 의학적이면서 특수한 심리적, 교육적, 사회적 자원이 필요하다. 학습장애는 있거나 없을 수도 있다. 환자의 모든 병력과 평가에 기초하여 진단해야 하며 dsm 기준에 있는 특징적인 증상 수의 존재 여부에만 의존하여 진단하여서는 안된다. 세심한 치료 프로그램의 필요성 이 약은 adhd의 환자에 대한 다른 치료방법(심리적, 교육학적, 사회적)이 포함된 전체 치료프로그램 내 필수적인 부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약물 치료는 이 증상을 가지고 있는 모든 환자에게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 약은 환경적인 요인 및/또는 다른 일차성 정신과 장애(정신이상 포함)에 이차적으로 수반되어 adhd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에는 적합하지 않다. 적절한 교육을 통...

콘서타OROS서방정18밀리그램(메틸페니데이트염산염) Korea Południowa - koreański - MFDS (식품 의약품 안전부)

콘서타oros서방정18밀리그램(메틸페니데이트염산염)

janssen korea ltd. - methylphenidate hydrochloride - 노란색의 장방형 필름코팅 정제 -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의 치료. adhd에 대한 이 약의 치료효과는 dsm-iv 기준에 부합하는 6세 이상 17세 이하의 소아 및 청소년과 18세 이상 65세 이하의 성인 adhd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입증되었다. 진단은 dsm기준 또는 icd 가이드라인에 따라 실시해야 한다. 진단시 특별히 고려할 점 이 증상의 특별한 병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며 단독의 진단검사법도 없다. 적절한 진단을 위해서는 의학적이면서 특수한 심리적, 교육적, 사회적 자원이 필요하다. 학습장애는 있거나 없을 수도 있다. 환자의 모든 병력과 평가에 기초하여 진단해야 하며 dsm 기준에 있는 특징적인 증상 수의 존재 여부에만 의존하여 진단하여서는 안된다. 세심한 치료 프로그램의 필요성 이 약은 adhd의 환자에 대한 다른 치료방법(심리적, 교육학적, 사회적)이 포함된 전체 치료프로그램 내 필수적인 부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약물 치료는 이 증상을 가지고 있는 모든 환자에게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 약은 환경적인 요인 및/또는 다른 일차성 정신과 장애(정신이상 포함)에 이차적으로 수반되어 adhd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에는 적합하지 않다. 적절한 교육을 통...

테모레트정(아테놀올)(수출명:DAEHWAATENOLOL) Korea Południowa - koreański - MFDS (식품 의약품 안전부)

테모레트정(아테놀올)(수출명:daehwaatenolol)

대화제약(주) - 아테놀올 - 백색의 원형 필름코팅정 - 1정 (205mg) 중 - 첨가제 : 유당, 옥수수전분, 전분글리콜산나트륨, 스테아린산마그네슘,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오파드라이y-1-7000; 첨가제 주의 관련 성분: 유당 - [214]혈압강하제 - 고혈압, 협심증

로수넥스정20mg(로수바스타틴칼슘) Korea Południowa - koreański - MFDS (식품 의약품 안전부)

로수넥스정20mg(로수바스타틴칼슘)

binex co., ltd. - rosuvastatin calcium - 분홍색의 원형 필름코팅정제 - 이 약 1정(309.0mg) 중 - 이 약 1정(309.0mg) 중,로수바스타틴칼슘,별규,20.80,밀리그램 - [218]동맥경화용제 - 1. 원발성 고콜레스테롤혈증(type iia), 복합형 고지혈증(type iib) : 식이 및 운동으로 조절이 안 될 경우 식이요법의 보조제 2. 동형접합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에 식이요법이나 다른 지질저하요법(예:ldl 분리반출법)의 보조제 3.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로스테롤을 목표 수준으로 낮추어 죽상동맥경화증의 진행을 지연 4. 원발성 이상베타리포프로테인혈증(type iii) 환자의 식이요법 보조제 5. 심혈관 질환에 대한 위험성 감소 : 관상동맥 심질환에 대한 임상적 증거는 없으나, 만 50세 이상의 남성 및 만 60세 이상의 여성으로 고감도 c-반응단백(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 hscrp)이 2mg/l 이상이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심혈관질환 위험 인자(예 : 고혈압, 낮은 hdl-콜레스테롤치, 흡연 또는 조기 관상동맥 심질환의 가족력 등)를 가진 환자의 - 뇌졸중에 대한 위험성 감소 - 심근경색에 대한 위험성 감소 - 동맥 혈관재형성술에 대한 위험성 감소